처음으로 대학원생이 되고 첫 회식을 가졌을 때였다.
선배들과 지도교수님이 논문에 대한 대화를 나누고 있었는데, impact factor, citation 등이 오고갔는데,
나는 도통 그게 무슨 말들인지 몰랐다.
지도 교수님은 아무것도 모르는 나에게 review paper를 일단 많이 읽고, impact factor가 높은 논문들을 주로 읽으라고 하셨었다.
그래서 오늘은 좋은 논문의 기준이 무엇인지 정리해본다.
1탄. citation index (피인용지수)
(1) citation index (피인용지수)
논문을 읽게 되면 마지막에 reference에 아주 많은 논문들이 정리되어 있다. 바로 논문을 썼을 때에 도움이 되었던 영향을 받았던 논문들을 정리한 것이다. 어느 한 논문이 많이 citation(인용)이 되었다는 것은 그 논문이 영향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럼 어떨 때 다른 논문들을 인용 할까?
- 해당 분야의 대가 및 선구자에 대한 경의를 표하기 위해 / 어떤 아이디어나 개념이 최조로 논의된 논문 / 선구적인 개념이나 용어가 최초로 기술된 연구
:첫 그 연구분야를 시작한 연구자 및 그룹에 대한 경의의 표시이다. 노벨상을 받았을 만큼의 연구 공헌자의 논문을 인용한다. 혹은 지도교수의 논문을 인용한다.
- 그 논문을 평가하기 위해
: 이러저러한 연구 배경을 설명하다가 타 논문의 내용을 언급하기 위해서다
- 방법론이나 사용한 장치 등을 명시하기 위해
: 후속 연구나 follow 연구를 할 경우 사용 된다. 같은 그룹의 선배 혹은 자신의 논문과 같이 전에 보고한 논문들을 인용한다.
- 해당 연구의 배경이 되는 논문이기 때문에
: 사실 이게 제일 많이 사용되는 이유다. Introduction의 인용된 연구 내용이나 문구를 사용할 때 인용한다.
- 기존의 아이디어를 부정하거나 기존의 주장에 이의를 제기하기 위해 / 과거 논문의 오류를 지적하기 위해 / 과거 연구의 오류를 지적하기 위해
: 자신이 새로운 관찰과 결과를 발견했을 때 사용된다. 또는 기존의 연구 특징과 다르게 나올 경우 인용하게 되는데, 타 논문에게 감점? 어쩌면 그 그룹에 대한 명예를 깍는 일이기에 조심스럽기는 하다. 오랜시간동안 기반이 되어온 개념을 반박할 때는 그 용기가 필요하며 맞설만큼의 탄탄한 증명이 준비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엄청난 argure(비판, 확인요구) 거리가 넘쳐나게 되면서 논문 평가에서 reject (거절)을 맞게 된다.
- 선행 연구의 약점을 비평하기 위해
: 자신의 연구의 강점을 어필하기 위해 인용된다.
- 자기 학설을 보강하기 위해
: 뒷받침해 줄 수 있는 연구결과를 인용한다.
- 이후 연구에 주의를 환경하기 위해
: 여전히 확실치 않은 이유가 있을 때 "나뿐만 아니라, 이러한 문제는 다른 연구자도 고민/생각하고 있는 부분이다"를 보여주기 위해 인용된다.
- 별로 인기가 없고, 널리 알려지지 못한 연구를 소개하기 위해
- 자신의 데이터가 정확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 자신의 control 실험 데이터가 기존에 발표된 논문과 비슷하기에 내 improve된 데이터에 대한 정확성과 신뢰를 받기위해 인용된다.
논문을 쓸 때 인용논문이 많으면 좋은 점이 많다.
1. 결국 논문을 심사할 refree는 해당 분야의 어느 한 연구자가 되는데, 자신의 논문이 인용이 된 걸 본다면.. 굉장히 흐뭇해하면서 심하고 가혹한 평가를 주지 않을 확률이 높다. (결국 사람인지라, 자신의 연구 결과에 대한 존중감에 기뻐하기 때문)
그러니 어느 연구자나 교수에게 갈지 모르니 웬만한 좋은 그룹에서 나온 논문들을 인용하여 reference에 넣으면 좋다.
2. 저널 에디터나 주요 그룹은 다 연결되어 있다. 해당 연구 분야에 대한 society가 굉장히 좁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섯 다리이내로 건너면 어느 교수가 어느 교수와 이런 저런 인연이 있다는 것을 알게된다. 저털 에디터와 refree, 저자와 refree 혹은 교신저자와 refree 등등.
3. Reference가 많다는 것 (인용 논문이 많다는 것)은 그 관련 연구에 대해 많이 알아보고 공부했다는 의미가 되기 때문에 전문성을 높게 평가받기 쉽다.
'대학원+미국포닥'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곤하고 어색한 논문 특징 (주의해야할 나쁜 논문 글쓰기법) (2) | 2023.04.03 |
---|---|
좋은 논문의 기준은 무엇인가? _ 2탄 impact factor (0) | 2023.03.30 |
논문이 갖는 의미와 논문을 대하는 연구자의 자세 (0) | 2023.03.28 |
이제서야 쓰는 미국 포닥 생활 10 (0) | 2023.03.27 |
이제서야 쓰는 미국 포닥 생활 9 (0) | 2023.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