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 공간. 그리고 나

논문쓰기 2

은근민감한 공동연구와 논문에서 저자 정하기

최근들어 여러 연구분야가 합쳐진 연구를 하거나 더 깊은 연구를 하기 위해서 두 그룹 이상이 공동연구를 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그렇게 공동논문을 집필하게 된다. 공동연구/논문 집필을 하는 이유는 다양하다. 작은 논문 여러개 보다는 공동연구를 함으로써 좋고 큰 논문 한 편이 더 낫다고 판단했을 때 연구과제에서 참여기관끼리 각자 연구수행하고 연구결과를 공유하다가 논문화시키기로 했을 때 좋은 기술력을 가지고 있는 두 연구그룹/기관이 Give and Take로 2편 이상의 논문을 만들기로 했을 때 다른 연구 그룹이 다른 목적으로 타 연구 그룹의 데이터를 사용하고 싶을 때 (데이터 빌리기) 두 그룹사이에서 서로의 성장을 위해 밀어주기-당겨주기의 관계가 있을 때 대가 그룹/교수와 함께 한번 좋은 저널에 게재하여..

논문 Submit 부터 Publish 까지_대략적 과정

당분간 "논문"으로 주제를 잡은 만큼, 한번 정리해보고자 한다. ^^ 내가 대학원생 때 우리 지도교수님께서는 아래의 4가지를 준비해야만 논문을 봐주셨다. 1. Main Manuscript 2. Supporting information, 3. Figure-set PPT file, 4. Coverletter to editor 이렇게 준비하는 것에 익숙해지니 연구를 시작하는 것도, 논문을 쓰면서 그 연구를 마무리하는 것도 어렵지 않게 되었다. 너무 가혹하고 힘든 대학원생 생활이 지금와 보면 트레이닝이었던 것이다. (흠~ 이렇게 합리화하는 걸까? ㅎㅎ) 어쨌든, (1) 대부분 교신저자 (책임연구자), 즉 지도교수가 저널에 원고를 제출한다. MS(manuscript). SI(supporting informat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