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 공간. 그리고 나

대학원+미국포닥

논문이 갖는 의미와 논문을 대하는 연구자의 자세

Ph.D 송꾸 2023. 3. 28. 16:46

연구자로서 도움이 될 만한 글들을 써본다. 논문 한 편을 쓰는 데에 많은 시간과 스트레스를 받게된다. 

그럼에도 우리는 논문을 연구 성과로서 보여주어야 한다.

논문쓰기 귀찮아(?)하는 내 자신에게 채찍질 삼아, 정리해본다.

내가 현재 있는 학교, 연구실, 동료, 연구 인프라에 대한 감사함을 잊지 않도록.

 

 

 대학이란

학문의 중심으로 넓은 지식을 습득함과 동시에 깊은 전문적인 학문과 예술을 교수 및 연구하여 지적, 도덕적 및 응용적인 능력을 전개시키는 거슬 목적으로 한다. 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 교육 연구를 수행하여, 그 성과를 널리 사회에 제공함으로써 사회의 발전에 기여한다. 

 

(즉, 논문 게재를 해야 의미를 갖는다.)

 

논문이란 것은 어떤 문제에 대한 연구결과에 자신의 견해를 더해 정리한 문서이다. 연구의 진척에 따라 테마가 변할 수있기 때문에 논문 주제도 연구 방향과 포인트도 저자가 설정해야 하는 것이다.

 

 

 

<카미데 요스케의 책 中>

 

연구자의 논문 10계명

- 논문을 쓰지 않는 연구자는 쥐를 잡지 않는 고양이와 같다-

 

  • 1. 쓰인 논문은 집필자의 연구자로서의 인격을 나타낸다. 
  • 2.데이터만 생산하고 논문을 쓰지 않는 사람은 기술자이다.
  • 3. 데이터도 생산하지 않고, 논문도 쓰지 않는 사람은 평론가다.
  • 4. 연구자는 논문을 씀으로써 성장한다. 또한 성장의 양식으로 삼아야 한다.
  • 투고하고 심사를 받는 것으로 성장한다.
  • 5. 논문은 연구자의 생계수단이다.
  • 연구자의 자질을 평가할 때 제일 먼저 문제가 되는 것은 좋은 논문을 많이 작성했느냐는 점이다.
  • 6. 논문은 후세의 연구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 안된다. 
  • 7. 연구자는 자신이 쓴 논문에 책임을 진다.
  • 8. 바빠서 논문을 쓸 수 없다는 것은 변명이 되지 않고 능력이 없다는 것과 같다. 정말 가치있는 결과를 얻었다면 논문 draft는 하룻밤 사이에도 쓸 수 있다. 쓰지 않는 것은 부족한 점이 있기 때문이고, 쓰는 힘도 능력 중의 하나이다. 
  • 9. 박사학위 논문 이상의 논문을 쓰지 않은 사람은, 그 박사논문은 지도교수늬 것이라 해도 어쩔 수 없다. 
  • 10. 연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디어이고, 그것을 실현하는 것이 논문이다. 
  • 11. 기술적인 것도 포함해서 혐력체제를 구축하고 자금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모든 연구자들 화이팅!!